#취지, #논거, #판례, #예규, #선례

✅ ‘취지’의 개념 요약
📌 취지(趣旨)란?
법령, 계약, 판결 등에서 규정이 존재하는 이유와 목적을 의미.
1. 법적 취지
* 입법 취지: 법을 만든 이유
* 조문 취지: 특정 조항이 존재하는 이유
* 판결 취지: 판결에서 법원이 밝힌 핵심 논거
✅ 키워드:
"왜 만들었나? → 목적과 이유!"
2. 계약·의사표시의 취지
* 계약 조항의 해석에서 중요
* 명시되지 않은 사항도 취지를 고려해 판단
✅ 키워드:
"당사자의 의도와 목적!"
3. 실무 활용 (취지 판단 기준)
1. 문언 해석 (글자 그대로)
2. 체계 해석 (법 전체 맥락)
3. 목적론적 해석 (궁극적 목적)
✅ 암기 공식:
"문언 → 체계 → 목적" (순차적으로 해석)
🔹 한 줄 정리:
“취지 = 존재 이유 + 목적”
법령, 계약, 판결 모두 왜 존재하는지를 밝히는 핵심 개념.

✅ 논거(論據)의 개념 요약
📌 논거란?
→ 주장을 뒷받침하는 이유(근거)와 논리적 증거
1. 논거의 유형
1. 법적 논거: 법 조항, 판례, 법 원칙
2. 사실적 논거: 객관적 사실, 증거 자료
3. 논리적 논거: 연역·귀납·유추 등의 논리 구조
✅ 키워드:
"법 + 사실 + 논리 = 논거"
2. 논거의 구조 (논증 방식)
* 대전제(법칙) → 소전제(사실 적용) → 결론
* 예) “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는 배상해야 한다(대전제). A가 B에게 고의로 손해를 끼쳤다(소전제). A는 B에게 손해배상해야 한다(결론).”
✅ 암기 공식:
"대전제 → 소전제 → 결론"
🔹 한 줄 정리:
“논거 = 주장 + 이유(법·사실·논리)”
타당한 논거가 있어야 논증(설득력)이 성립함.

✅ 판례, 예규, 선례의 차이
📌 공통점:
→ 법적 판단 기준이 되는 기존의 결정
1. 판례(判例)
* 법원이 내린 최종 판단
* 대법원 판결이 일반적으로 판례로 인정됨
같은 사건에서 **기속력(구속력)**을 가짐
✅ 암기: “법원의 공식 판단!”
2. 예규(例規)
* 행정기관 내부에서 만든 업무 처리 지침
* 법적 구속력 없음 (행정기관 내부 기준일 뿐)
✅ 암기: “행정기관 내부 규칙!”
3. 선례(先例)
* 과거에 있었던 사례, 반복되는 관행
* 구속력은 없지만, 후속 사건에서 참고 가능
✅ 암기: “이전 사례, 참고용!”
🔹 한 줄 정리
* 판례 = 법원의 공식 판결 (구속력 有)
* 예규 = 행정기관 내부 기준 (구속력 無)
* 선례 = 반복된 과거 사례 (참고 가능)
https://time33.tistory.com/m/101
[법률용어] 판결문의 주요 항목(사건번호, 청구취지, 주문, 이유, 판결의결론/권한, 취지)
#판결문, #사건번호, #청구취지, #주문, #이유, #판결의결론, #권한, #취지1. 판결문의 주요 항목판결문은 법원의 판단을 기록한 문서1. 판결문의 기본 항목 : [사청주이판결] 1. 사건번호 → 해당 사
time33.tistory.com
'├ 법률용어 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법률용어] 소유권 이외의 권리란, (0) | 2025.04.05 |
---|---|
[법률용어] 판결문의 주요 항목(사건번호, 청구취지, 주문, 이유, 판결의결론/권한, 취지) (0) | 2025.04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