├ 법률용어 ┨2025. 4. 5. 07:34


#취지, #논거, #판례, #예규, #선례



https://unsplash.com/ko/@christinhumephoto



✅ ‘취지’의 개념 요약


📌 취지(趣旨)란?
법령, 계약, 판결 등에서 규정이 존재하는 이유와 목적을 의미.

1. 법적 취지


* 입법 취지: 법을 만든 이유
* 조문 취지: 특정 조항이 존재하는 이유
* 판결 취지: 판결에서 법원이 밝힌 핵심 논거


✅ 키워드:
"왜 만들었나? → 목적과 이유!"


2. 계약·의사표시의 취지


* 계약 조항의 해석에서 중요
* 명시되지 않은 사항도 취지를 고려해 판단

✅ 키워드:
"당사자의 의도와 목적!"

3. 실무 활용 (취지 판단 기준)


1. 문언 해석 (글자 그대로)
2. 체계 해석 (법 전체 맥락)
3. 목적론적 해석 (궁극적 목적)

✅ 암기 공식:
"문언 → 체계 → 목적" (순차적으로 해석)


🔹 한 줄 정리:

“취지 = 존재 이유 + 목적”
법령, 계약, 판결 모두 왜 존재하는지를 밝히는 핵심 개념.




https://unsplash.com/ko/@andrewtneel

논거(論據)의 개념 요약


📌 논거란?
→ 주장을 뒷받침하는 이유(근거)와 논리적 증거

1. 논거의 유형


1. 법적 논거: 법 조항, 판례, 법 원칙
2. 사실적 논거: 객관적 사실, 증거 자료
3. 논리적 논거: 연역·귀납·유추 등의 논리 구조

✅  키워드:
"법 + 사실 + 논리 = 논거"


2. 논거의 구조 (논증 방식)

* 대전제(법칙) → 소전제(사실 적용) → 결론

* 예) “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는 배상해야 한다(대전제). A가 B에게 고의로 손해를 끼쳤다(소전제). A는 B에게 손해배상해야 한다(결론).”

✅ 암기 공식:
"대전제 → 소전제 → 결론"

🔹 한 줄 정리:


“논거 = 주장 + 이유(법·사실·논리)”
타당한 논거가 있어야 논증(설득력)이 성립함.



https://unsplash.com/ko/@bj_pearce66

판례, 예규, 선례의 차이


📌 공통점:
→ 법적 판단 기준이 되는 기존의 결정


1. 판례(判例)


* 법원이 내린 최종 판단
* 대법원 판결이 일반적으로 판례로 인정됨

같은 사건에서 **기속력(구속력)**을 가짐


✅ 암기: “법원의 공식 판단!”



2. 예규(例規)


* 행정기관 내부에서 만든 업무 처리 지침
* 법적 구속력 없음 (행정기관 내부 기준일 뿐)

✅ 암기: “행정기관 내부 규칙!”


3. 선례(先例)


* 과거에 있었던 사례, 반복되는 관행
* 구속력은 없지만, 후속 사건에서 참고 가능


✅ 암기: “이전 사례, 참고용!”


🔹 한 줄 정리


* 판례 = 법원의 공식 판결 (구속력 )
* 예규 = 행정기관 내부 기준 (구속력 )
* 선례 = 반복된 과거 사례 (참고 가능)


https://time33.tistory.com/m/101

[법률용어] 판결문의 주요 항목(사건번호, 청구취지, 주문, 이유, 판결의결론/권한, 취지)

#판결문, #사건번호, #청구취지, #주문, #이유, #판결의결론, #권한, #취지1. 판결문의 주요 항목판결문은 법원의 판단을 기록한 문서1. 판결문의 기본 항목 : [사청주이판결] 1. 사건번호 → 해당 사

time33.tistory.com


320x100
Posted by E.sun
├ 법률용어 ┨2025. 4. 5. 01:04

https://unsplash.com/ko/@jakubzerdzicki


■ 소유권 이외의 권리란?


소유권(所有權) 이외의 권리란, 부동산 또는 동산 등에 대해 완전한 소유권은 아니지만, 일정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.



1. 주요 소유권 이외의 권리 유형

1) 용익물권(用益物權) – 타인의 물건을 이용하는 권리


지상권(地上權) → 남의 토지에 건물·시설 등을 설치할 권리
지역권(地役權) → 다른 토지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 (예: 통행권)
전세권(傳貰權) → 일정한 금액을 지급하고 부동산을 점유·사용할 권리

➡ 암기법: “지·지·전” → 지상권, 지역권, 전세권


2) 담보물권(擔保物權) – 채권을 확보하기 위한 권리



https://unsplash.com/ko/@tierramallorca


2
. 소유권과의 차이점

소유권과 소유권 이외의 권리 비교

1. 개념
* 소유권: 물건을 완전히 지배하고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권리
* 소유권 이외의 권리: 특정한 목적에 따라 제한적으로 행사되는 권리


2. 예시
* 소유권: 부동산 소유, 자동차 소유
* 소유권 이외의 권리:
전세권(부동산 사용권), 지상권(토지 이용권), 저당권(담보권), 유치권(변제받을 때까지 물건 보유)


3. 이전 가능성
* 소유권: 자유롭게 매매 및 양도 가능
* 소유권 이외의 권리: 일부 권리는 이전 가능하지만, 유치권 등은 이전이 제한될 수 있음


4. 권리 성격
* 소유권: 절대적 권리로 소유자가 모든 권한을 가짐
* 소유권 이외의 권리: 특정 목적을 위한 제한적 권리

➡ 결론: 소유권은 물건을 완전히 지배할 수 있는 권리이고, 소유권 이외의 권리사용, 담보 등 특정 목적을 위해 제한적으로 인정되는 권리이다.


https://unsplash.com/ko/@anniespratt


3. 정리 – 한 문장 요약


소유권 이외의 권리는 ‘용익물권(사용권)’, ‘담보물권(채권 보호권)’으로 나뉘며, 소유권이 없어도 특정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!

※ 위 내용은 개인공부용으로 작성됨


#소유권 #소유권이외의권리 #용익물권 #담보물권

https://time33.tistory.com/m/100

[부동산등기법] 용어/ #재외국민, #재외동포, #외국인

재외국민은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으면서 해외에 거주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. 법적으로는 대한민국 헌법과 국적법에 따라 정의되며, 재외국민의 권리와 의무는 국내 거주 국민과 일부 차

time33.tistory.com



320x100
Posted by E.su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