달러.주식.금. 백신과 시장의 기대
달러 공급이 줄면(공급과 가격은 반대)
* 달러가 강세를 ↑
* 주식, 채권, 금 모두 약세 ↓
주식↑ 금 ↓
* 대규모 재정 부양 통과(돈이 쏟아짐)
* 성장에 대한 시장의 기대(투자 유도)
* 성장-->투자 상승 기대(돈이 필요)
* 투자-->자금에 대한 수요↑금리↑
* 주식에서 수익이 나면 금(이자 없음)은 밀림
www.donga.com/news/Inter/article/all/20201110/103881037/1
화이자 백신, 일반인 접종은 언제쯤 가능할까?
미국 제약사 화이자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(코로나19) 백신이 90% 이상 효능이 있고, 면역이 1년 이상 지속된다는 중간 분석 결과가 나온 가운데 상용화까지 얼마나 시간…
www.donga.com
시장의 심리와 기대
* 시장은 성장을 원한다.
* 성장은 투자를 유도한다
* 투자는 수익을 준다.
* 투자는 자금을 필요로 한다.
* 자금조달을 위한 대출(레버리지) 발생
* 돈이 귀해지면 금리가 상승
* 즉, 성장과 금리, 투자와 수익은 함께 간다.
* 경기호황/경기불황에서의 변수는 항상 존재(정책 등)
뉴욕 증시 3대 지수(현재 20'/11/10)
* 다우지수 - 산업지수↑
* S&P 500 - 기술주↑
* 나스닥 - 성장주(언택트)↓
저성장 국면에서
* 성장의 희소 가치가 있는 것 - 나스닥의 언택트
* 경제 성장하면 - 희소성 사라짐(언택, 금)
* 가치주(저평가주)↑, 경기민감주↑ , 채권금리 상승세
* 호재, 백신이벤트 (covid19)
ㄴ>사람들이 밖으로 튀나온다.(호텔, 외식, 항공 등)
* 인간의 본성은 저항과 텐션이다.(본질은 동물)
* 재정정책보다 더 좋은 건 성장이다.(성취: 인간은 그렇다.)
성장 국면에서
* 성장은 해당국가 통화의 강세를 이끈다.
* 변수로는 상대적 강세도 존재한다. (달러 약/위안 강)
* 신흥국=이머징 국가
ㄴ제조업기반
ㄴ수출국
ㄴ산업위주
ㄴ저임금 노동력
* 성장국면의 신흥국 금리가 높을 때
ㄴ 자본은 이익이 나는 곳으로 움직인다.
(달러캐리트레이드)
성장가시화 근거 검증
* 고용지표 호조
* 최소한의 재정 부양책
* 시장의 재정, 통화 부양책 추가지원 불투명해짐.
* 백신의 상용화 기간, 경제 상흔 복구 문제
* 부양책의 공백, 금리 상승 부담이 맞서는 시장
* 부양책의 공백을 백신은 메워줄 것인가?
※ 출처: 요즘 한창 읽고 있는 부의 대이동의 저자 오건영님의 에세이 및 유튜브 동영상을 참고 정리한 것임.
※ 사진출처: unsplash.com/
※ 본 블로그는 개인공부용입니다.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.
2020/10/11 - [ㄴ경제] - [공유] 아마존 원(Amazon One) :손바닥을 데이터화한 개인 인증 방식
2020/08/23 - [ㄴ경제] - [자율주행차] 전기차, 플랫폼,카셰어링
2020/05/26 - [ㄴ경제] - 시스템 반도체 (비메모리)시장
2020/06/01 - [ㄴ경제] - [경제] 바젤3 은행자본 건전화방안의 개혁안.
2020/04/26 - [ㄴ경제] - 중앙은행 디지털화폐(CBDC: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)
'■ 경 제 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부] 경기사이클(feat. 부의 골든타임) (0) | 2020.12.10 |
---|---|
[금융] 미국 장단기 금리차/S&P(500) 경제 지표 (0) | 2020.12.05 |
[공유] 아마존 원(Amazon One) :손바닥을 데이터화한 개인 인증 방식 (0) | 2020.10.11 |
[자율주행차] 전기차, 플랫폼,카셰어링 (0) | 2020.08.23 |
경제지표, 시장위험 지표 요약 (0) | 2020.07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