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1.05.27 - [│경제│] - [#채권-1] 왜 채권에 투자해야 하나.
[#채권-1] 왜 채권에 투자해야 하나.
[# 채권투자핵심노하우/마경환 지음 중 발췌편집] Part 1. 올바른 채권투자의 기초 ▣ 예금보다 높은 수익을 원한다면 채권에 투자하라 ㄴ1. 왜 채권에 투자해야하나. ㄴ2. 채권펀드가 예금보다 좋
time33.tistory.com
매매(거래) 대한민국 민법 제563조. * 매매란/ 사고 파는 것(계약이라고도 한다.) * 거래란/ 주고 받는 행위를 말한다. 거래에는 ㄴ일반적인 거래(상행위) ㄴ회계에서의 거래가 있다. * 일반적인 거래: ㄴ매수,매도인이 재산권/대금지급을 주고받는 약속이다. * 회계에서의 거래: ㄴ'자금이 이동하는 것' ㄴ자금이동이 없는 것을 거래라 보지 않는다. |
‘주식이 자본시장의 꽃이라면
채권은 자본시장의 뿌리다.'
◈- 채권시장 -◈
1. 채권시장이란
ㄴ 채권이 매매(거래)되는 시장
[ 구분 ] ▪ 장내시장: 한국거래소 채권시장 ▪ 장외시장: 장내 시장 외 |
▣ 국채전문유통시장
▣ 채권 ETF
▣ 장외채권시장
▣ 채권등록 및 예탁제도.
2. 한국거래소 채권시장의 종류
▣ 국채전문유통시장
⊙ 환매조건부채권 매매시장(Repo)
⊙ 일반채권 시장
⊙ 소액채권시장
※ 한국거래소의 채권유통시장 해설‘ 참고
<국고채의 유통시장>
▨ 국채전문유통시장 ▨
⊙ 도입배경
。국채발행량 증가 과정에서
。사회적 비용절감
。채권시장 선진화
。시장인프라 구축 필요.
。채권 시장의 선진화를 담당
⊙ 개요.
。1999. 3월 개설
。국채 전자거래시장
。딜러회사 직접참여(인터넷이용)
。실시간 정보화면 시스템사용(거래전과정)
ㄴ거래투명성을 제고
⊙ 역할
。지표금리 육성(시장상황 정확 반영)
。투자 판단의 지표 제공
。채권의 적정가격 형성
。국고채 지표종목 체결수익률 실시간 공시
。채권시장에서의 지표금리제공(실시간)
。은행. 기업 등의 자금조달 및 채권투자시 지표 금리 활용
。국채선물시장 도입에 기여
※ 국채딜러는 딜링(dealing)을 통해 합리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, 효율적인 위험관리가 가능하다.
국채전문유통시장의 참가자
ㄴ국채 딜러에 한정한다.
◎ 국채딜러
。금융투자회사(증권사)
ㄴ한국거래소 증권회원 자격
。종금사 및 은행
ㄴ채무증권 전문회원의 자격)
。2017년 기관. 일반투자자로 참가자 확대
◎ 시장참가자.
。딜러회사(은행. 증권사)
。기타금융기관
ㄴ(연금, 보험, 기금, 자산운용사, 등)
。일반투자자(위탁 참여)
※ 딜러회사는 별도의 전산투자 없이 거래소의 국채매매시스템에 직접 접속하여 거래한다.
거래대상 채권
◎ 거래대상 채권
。국고채(거래의 대부분을 차지)
。통화 안정증권
。예금보험공사채
※ 국고채 매매수량의 단위는 10억원의 정배수.
▩국고채권
。발행일자와 관계없이 모든 채권이 국채전문 유통시자에서 거래가 가능
。지표종목과 비지표종목으로 구성
。조성호가 매매호가 제도를 두고 있다.
ㄴ(국고채지표종목에 한해 적용)
ㄴ시장조성기능
국고채 전문딜러(primary dealer, PD)
◎국고채 전문딜러(primary dealer, PD)
。시장조성자
。정부가 지정
。지표종목별 매도.매수 양방향 조성호가를 지속적으로 제시
。마켓메이커(market maker) 역할을 함.
ㄴ(거래시 시장호가 누적, 유동성 중요)
⊙의무
ㄴ유통시장의 유동성확보를 위해
ㄴ국채전문유통시장에서
ㄴ매도.매수 양방향 조성호가를 최대허용
ㄴ스프레드 이내로 지속적으로 제시해야함
◎ 국채전문유통시장 특성
。전자거래시스템 기반
。경쟁매매체제
。스크린 호가만을 통해(스크린 집중)
。익명으로
。가격경쟁에 의해 거래 체결되는 시장
。브로커가 없다. ->거래비용 절감
。실시간 체결되는 금리 공표
ㄴ 지표금리 제시기능, 신속, 정확, 수행
。시장투명성 보장(스크린 호가제시)
<국고채 발행절차>
채무증권 전문회원 제도란
한국거래소시장에 은행에 참여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도
(원칙적으로 회원인 증권사만 참여 가능)
<채무증권 전문회원이 되기 위한 조건>
국채증권, 지방채증권, 특별한 법률에 의하여 설립된 법인이 발행한 채권, 사채권의 매매 영업을 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아야 한다.
<국채전문 유통시장에서 은행의 참여>
현재 채무증권 전문회원의 자격을 갖춘 금융기관은 은행에 한정되고, 재정경제부고시 2000-8호를 통해 은행의 부수업무 중 하나로 국공채의 자기매매업(투자매매업)을 지정함으로 가능하게 되었다.
[증권사]
ㄴ 위탁참여기관의 주문에 대한 수탁증권사로 시장에 참여
[은행]
ㄴ부수업으로 수탁기능을 수행할 수는 없다.(국채의 자기 매매에 한함)
※ 기관투자자
2017년부터 국고채(물가연동국채포함)를 증권사 위탁계좌를 통해 직접 매매가능하도록 제도 개선
⊙ 위탁기관
ㄴ연금. 보험, 기금, 자산운용사.
⊙ 위탁매매방식
。전화주문
。전자매매시스템상의 직접적인 호가 입력 방식 통용 (두 주문 방식 모두 위탁자의 자금, 증권결제에 대한 이행 보증책임은 수탁증권사가 지게 된다.)
⊙ 위탁참가기관의 직접매매시스템 이용절차
。소정의 기관 등록,
。거래원 등록 절차 이행
。결제증권사를 지정해야 함.
⊙ 국채전문 유통시장의 유기적인 협력체계
。정부
。한국거래소
。국고채 전문딜러
국고채 전문딜러 현황
(2020. 6월 현재)
▩ 국고채 전문 딜러 17개
。증권사 - 10개
。은행 - 7개
< 증권사 >
교보증권. 대신증권. 미래에셋대우증권, DB투자증권, 삼성증권, 신한금융투자자, NH투자증권, 한국투자증권, KB증권, 메리츠종금증권 |
< 은행 >
KB국민은행, 농협은행, IBK기업은행' 하나은행, 산업은행, 크레디아그리콜(서울지점)' 한국스탠다드차타드 은행 |
채권을 매매하기 위한 유통시장은 다수의 매도, 매수주문이 한 곳에 집중되어 경쟁매매를 통해 이루어지는 거래소시장(Exchange Market)과 주로 증권회사 창구에서 증권회사와 고객들의 개별적인 매매를 통해 이루어지는 장외시장(Over-The-Counter Market)으로 구분됩니다.(이미지 크게보기 출처:링크로보기->ktb.moef.go.kr/distbMrktIntrcn.do)
☞ 이전글 더보기
2020.12.05 - [│경제│] - [금융] 미국 장단기 금리차/S&P(500) 경제 지표
[금융] 미국 장단기 금리차/S&P(500) 경제 지표
[장단기 금리차] 10 년 국채 고정 만기에서 2 년 국고 고정 만기를 뺀 것. 경기싸이클의 핵심, 채권 기간이 길면 길수록 금리가 높다. 양수 값 = 미래 성장 음수 값 = 경기 침체 [국채 10년물] 장기금
time33.tistory.com
사진출처: unsplash.com/
자료출처: 채권기초/김형호 발췌, 위키백과, 기획재정부(ktb.moef.go.kr/isuProcss.do)참고
※ 본 블로그는 개인 경제 공부 용도로 작성되었음.
'■ 경 제 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#채권-2] 채권투자수익 무엇으로 결정되는가. (0) | 2021.05.28 |
---|---|
[#채권-1] 왜 채권에 투자해야 하나. (0) | 2021.05.27 |
[2부]코로나19 이후 양적완화(feat. 부의 골든타임) (0) | 2020.12.18 |
[1부-1] 부채의 4단계 사이클(부의 골든타임) (0) | 2020.12.13 |
[1부] 경기사이클(feat. 부의 골든타임) (0) | 2020.12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