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# 채권투자핵심노하우/마경환 지음 중 발췌편집]
Part 1. 올바른 채권투자의 기초
▣ 예금보다 높은 수익을 원한다면 채권에 투자하라
ㄴ1. 왜 채권에 투자해야하나.
ㄴ2. 채권펀드가 예금보다 좋은 이유
ㄴ3. 채권펀드가 주식보다 좋은 이유
ㄴ4. 향후 글로벌시장 환경은 채권투자가 답이다.
※참고자료. 경제성장률과 인플레이션을 활용한 자산배분.
1. 왜 채권에 투자해야하나.
♣ 채권, 큰 위험없이 안정적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자산.
[투자수익기준(Calendar Year Return)]
⊙글로벌투자적격채권(과거 20연간 연도별 투자수익 기준)
ㄴ최저수익률구간도 원금과 비슷한 수익 제공
ㄴ평균 5%대 연수익을 기록.
ㄴ채권은 투자기간을 길게 할수록 원금손실가능성을 최소화
ㄴ예금이자 이상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투자자산이다.
♣ 채권, 경기 하락시 매우 훌륭한 투자자산이다.
ㄴ원금손실 최소화
ㄴ물가상승률 이상의 수익제고
ㄴ주식보다 적은 변동성
<지난 10년간 주요자산 변동성> 。국내주식 --->17.38% 。글로벌주식---> 16.89% 。글로벌 채권 --> 5.81% 。국내채권 --> 4.27% |
|
자료: 블룸버그, 2017년 8월 말 기준 ㄴ국내채권 - KIS 3년 국채지수, ㄴ국내주식 - KOSPI ㄴ글로벌채권 - Barclays Global Aggregate ㄴ글로벌주식 - MSCI AC Gloal index |
주요 자산 변동성 |
♣ 채권, 경기상승에 따른 수혜를 보는 종류도 있다.
ㄴ((일반적으로))
º 채권 - 경기하락기에 적합
º 주식 - 경기 상승기에 적합
º 경기상승기에 수혜를 보는 채권자산
ㄴ글로벌시장으로 투자영역을 확대하면 #경기상승에 따른 수혜를 보는채권자산에는 #하이일드 채권, #이머징채권, #금리연동채권 등이 있다.
2. 채권펀드가 예금보다 좋은이유
♣. 채권이자, 예금이자보다 높다.
º 채권투자시 - 최소한의 거래수수료, 운용수익 차감.
º 예금이자
ㄴ 은행이 예금을 재원으로 대출, 채권에 투자하여
ㄴ>은행 마진수익 차감 후
ㄴ>고객에 예금이자 형태로 제공
(☆ 예금이자는 이런 종합적인 상황을 판단하여 예금이자를 책정한다. )
♣. 은행은 파산해도, 나라는 파산하지 않는다.
º 예금(예금자보호법)
ㄴ은행파산시 1인당 5천만원까지 보호
º채권펀드(수탁회사보관)
ㄴ투자금액 전체보호
ㄴ국채(국가가 상환 보증)
º경제가 악화되면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나타난다.
ㄴflight to quality
ㄴ국채(우량채권) 투자 수요증가 -> 국채 가격상승
♣채권펀드, 투자기간이 자유롭다.
º 은행예금
ㄴ3개월, 6개월, 1년(예정금리)
ㄴ중도해지시 매우 낮은 금리 적용
º 국내채권펀드(대다수)
ㄴ중도환매수수료가 별도로 없다.
ㄴ별도 만기가 없다.
ㄴ중도해지수수료가 없다.
ㄴ투자기간 경과시에도 지속적인 운영 가능
3. 채권펀드가 주식보다 좋은 이유
♣ 주식보다 변동성이 낮다.
(변동성, 위험, 기대수익 기준)
<자산별 수익과 위험>
º 공격적 투자자 - 주식형 펀드
º 예금투자자(보수적 투자자) - 채권투자
(# MMF -> 채권형-> 혼합형-> 주식형)
♣ 미래 재무계획에 유리하다.
ㄴ 연령별 자금소요 시점에 따라
♣ 시장이 위험할 때 주식과 반대로 움직인다.
ㄴ채권은 경제악화될수록 가격이 상승하는 반비례관계
♣ 채권가격이 상승하지 않아도 수익이 발생
º 채권투자수익 = 이자수익 + 자본손익
º 주식투자수익 = 배당수익 + 자본손익
(이자.배당수익 => 시장상황과 관계없는 수익)
(자본손익=> 상승장에서 추가 자본이익)
4. 향후 글로벌시장 환경은 채권투자가 정답이다.
♣글로벌 메가트렌드와 채권투자 필요성의 증가
1. 노령화 (Aging)
2. 저성장(Low Growth)
◎
ㄴ안정적 투자성향 투자 증가
ㄴ글로벌경제 저성장으로 인한 성장률둔화 투자수익 감소
ㄴ투자자의 보수화
ㄴ투자자산의 기대수익률 감소
세계적인 채권운용사 핌코
♣ 성장과 인플레이션을 척도로 적합한 자산 제시
▤ Case 1
◎ 성장률이 낮으면서 인플레이션이 높다.
ㄴ물가연계채권(TIPS)
ㄴ금리연동대출채권(Bank Loan)
▤ Case2
◎ 성장률이 높으면서 인플레이션도 높다.
ㄴ원자재
ㄴ경제활성화->원자재 수요증가
ㄴ인플레이션 촉발상황 -> 실물자산투자로 헤지
▤ Case 3
◎ 성장률이 높으면서 인플레이션도 높다.
ㄴ주식
º 인플레이션이 낮을때
ㄴ중앙은행이 양적완화 정책으로 경기회복세 도모할 수 있다.
ㄴ양적완화 - 금리인하, 유동성공급
º 기업입장
ㄴ조달금리가 매우 낮고
ㄴ경제성장 양호에 따른 기업성장률도 높다.
▤ Case 4
◎ 인플레이션이 낮고 성장률도 낮다.
ㄴ채권
ㄴ인플레이션 낮음으로 - 중앙은행 기준금리 인하로 - 시중금리 하락 가능성 높다.
ㄴ성장률 낮음 - 기업성장 기회가 적다 .
☞ 이전글 더보기
2021.03.30 - [│경제│] - 1. 채권시장(기초)
사진출처: unsplash.com/
자료출처: 채권투자 핵심 노하우/마경환 지음 /발췌 편집
※ 본 블로그는 개인 경제 공부 용도로 작성되었음.
'│경제│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#채권 -3]기준금리, 시장금리, 인플레이션은 어떤관계인가. (0) | 2021.05.31 |
---|---|
[#채권-2] 채권투자수익 무엇으로 결정되는가. (0) | 2021.05.28 |
1. 채권시장(기초) (0) | 2021.03.30 |
[2부]코로나19 이후 양적완화(feat. 부의 골든타임) (0) | 2020.12.18 |
[1부-1] 부채의 4단계 사이클(부의 골든타임) (0) | 2020.12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