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#채권 - 3] -이전글
2021.05.31 - [│경제│] - [#채권-3]기준금리, 시장금리, 인플레이션은 어떤관계인가.
[#채권-3]기준금리, 시장금리, 인플레이션은 어떤관계인가.
☞[#채권-2] 이전글 연결본문 2021.05.28 - [│경제│] - [#채권-2] 채권투자수익 무엇으로 결정되는가. [#채권-2] 채권투자수익 무엇으로 결정되는가. 채권투자수익 무엇으로 결정되는가. 채권에 투
time33.tistory.com
[#채권 - 4]
5. 채권가격의 변수와 영향
∨ 채권가격은 금리와 반대관계이다. ㄴ금리 = 이자율 ㄴ금리↑ 하면 채권가격↓ ㄴ금리↓ 하면 채권가격↑ |
∨ 채권수익 = 이자수익+자본손익 ㄴ자본손익은 금리변동에 좌우된다. ㄴ자본손익=> 채권가격변동에 다른 손익 |
∨ 시장금리는 실질금리와 인플레이션의 합으로 구성된다. ㄴ시장금리 = 명목금리 |
∨ 명목인플레이션과 시장금리는 장기간에 걸쳐 수렴하게 된다. |
∨ 올바른 채권투자를 위해서는 중앙은행 정책금리 방향에 관심을 가져야한다. (정책금리=기준금리) |
∨ 시장금리와 정책금리 예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? = > 예상인플레이션 |
∨ 인플레이션 방향은 변동성이 낮은 핵심(근원)소비자물가지수로 확인한다. |
※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경제변수를 잘 파악하면 인플레이션 예측이 가능하다. (경제성장률, 임금인플레이션, 실업률, 원자재가격, 환율, 주택가격, 소비자신뢰)
▣ 금리변동에 따른 채권투자수익 영향
① 채권수익(=②+③) | ②이자수익 | ②자본손익(가격손익) |
금리상승 시 | 변동없음 | 자본손실(가격하락) |
금리하락 시 | 자본이득(가격상승) |
▣ 경기상황에 따른 실전 채권투자방법 _우량채권
º 시장환경: 경기하락 → 금리하락 → 채권가격 상승
º 투자전략: 장기국채(펀드)매수 → 가격상승 극대화
º 시장환경: 경기상승 → 금리상승 → 채권가격 하락
º 투자전략: 단기국채(펀드)매수 → 가격하락위험 방어
※ 경기상승국면에 적합한 하이일드채권이나 이머징채권은 앞의 전략이 맞지 않을 수 있다.
<참고자료>
ㄴFederal Reserve Bank of San Francisco의 자료 인용
▣ 미국 연준리 정책금리 결정 과정
1. 중앙은행 정책목표
- 완전고용
- 물가안정
2. 정책결정
- 연간 8회 미팅
-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통화정책(Monetary policy)을 결정한다.
- 실제 금리결정 미팅은 연준리 의장 인터뷰가 있는 회의에서 주로 결정된다.
<FOMC 미팅일정>
월(Month) | 일(Date) | 연준리 의장 기자회견 |
1월/2월 | 31~1 | |
3월 | 14~15 | ○ |
5월 | 2~3 | |
6월 | 13~14 | ○ |
7월 | 25~26 | |
9월 | 19~20 | ○ |
10월/11월 | 31~1 | |
12월 | 12~13 | ○ |
☞이전글 더보기
2021.03.30 - [│경제│] - 1. 채권시장(기초)
2021.05.27 - [│경제│] - [#채권-1] 왜 채권에 투자해야 하나.
2021.05.28 - [│경제│] - [#채권-2] 채권투자수익 무엇으로 결정되는가.
2021.05.31 - [│경제│] - [#채권-3]기준금리, 시장금리, 인플레이션은 어떤관계인가.
사진출처: unsplash.com/
자료출처: 채권투자 핵심 노하우/마경환 지음/발췌 편집
※ 본 블로그는 개인 경제 공부 용도로 작성되었음.
'■ 경 제 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#채권 -6] 경기상황에 따른 채권투자 의사결정(단기채권, 장기채권, 듀레이션) (0) | 2021.06.25 |
---|---|
[#채권 -5] 신용등급과 가산금리 (0) | 2021.06.10 |
[#채권 -3]기준금리, 시장금리, 인플레이션은 어떤관계인가. (0) | 2021.05.31 |
[#채권-2] 채권투자수익 무엇으로 결정되는가. (0) | 2021.05.28 |
[#채권-1] 왜 채권에 투자해야 하나. (0) | 2021.05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