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엘리어트 파동이론(Elliott wave principle)
시장의 움직임을 예측하는
주가는 연속적인 8개의 파동이 사이클을 이루며
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는 이론으로
미래의 주가예측에 유용하고 간편
투자자들은 현재의 주가가
상승 5파와 하락 3파 중
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만 파악하면
효율적인 투자전략을 용이하게 세울 수 있다.
<주가변동이론>
-1930년대 미국의 R.N. 엘리엇(1871~1948)이 개발
-주가는 대자연의 법칙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.
-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반복 된다. 주장
-연구당시 과거 75년동안 주가 움직임 데이터 분석해 만듬
-(연간.월간.주간.일간.시간,30분 단위분석)
-장.단기 주가변동을 자연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.
<간단요약>
대파동의 한 사이클(상승 1파, 하락 1파)
소파동의 상승 5파 하락 3파로 구성
-주가는
상승 5개 파동과 하락 3개 파동 등
8개 파동이 하나의 사이클을 완성한 후
또 다시 새로운 파동이 시작된다.
-이때
상승 5개 파동은 1.3.5번의 충격파동과
2.4번의 조정파동으로 구성
-하락 3개 파동
-1.3번 충격파동
-2번 조정파동으로 구분
이것을 기본으로
시장상황에 따라 연장파동이 나타나기도 하고
미달형이 발생하기도 하는 등
예외적인 요소가 상당히 많다고도 함.
엘리엇파동이론은 원래 다우공업평균 같은
전체주가지수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연구
개별 종목들의 움직임에 적용시키기에는
다소 무리가 따르는 것으로 알려짐.
320x100
'■ 경 제 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하이일드 채권 (0) | 2020.03.31 |
---|---|
국가의 신용등급 평가기관 (0) | 2020.03.27 |
대출채권담보부 증권(CLO) (0) | 2020.03.27 |
통화 스와프(currency swap) (0) | 2020.03.25 |
CDS(신용부도스와프) (0) | 2020.03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