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s://www.yna.co.kr/view/AKR20200325056252002?input=1195m
[통화스왑의 본래 의미]
위험회피를 위한 파생상품
CRS(Currency Rate Swap)계약
통화 간 교환(Currency exchange)
=스왑(Swap)거래, 통상 만기1년 이상
[통화스왑]
미래 특정 날짜.기간(만기)을 정해
어떤 상품.금융자산(부채)을
상대방 상품(자산)과 일정비율로 바꾸는 것
[쉽게 말해 통화를 일정기간 바꾼다는 뜻으로 ]
http://news.einfomax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4078130
[CRS금리] 위험회피 비용(이자) 발생
통상 통화스왑(CRS)의 경우
안전하지 않은 통화를 가진 사람일수록 비싸다.
(2008년 원화-달러간 통화스왑에서 원화를 가진 사람이
받을 수 있는 금리가 마이너스인 상황이 발생하기도)
통화스와프금리[ CRSrate ]
달러와 원화를 교환할 때 달러를 빌리는 쪽에서는
변동금리인 리보금리(런던은행 간 금리)를 지급하고
원화를 빌려주면서 고정금리를 받는다.
이 고정금리가 CRS 금리다.
CRS 금리는 '0%'보다 높은 게 정상
단기 금리 통상 6개월
리보금리 통상 3개월
[네이버 지식백과]통화스와프금리 [CRS rate] (한경 경제용어사전)
[국가간 통화협약으로 의미확대]
[국가간 통화스왑 협정(Swap agreement)]
두 국가가
현재의 환율(양국 화폐의 교환 비율)에 따라
필요한 만큼의 돈을 상대국과 교환하고,
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최초 계약 때 정한 환율로
원금을 재교환하는 거래
1차적인 목적/국가의 통화가치를 안정
통상 스왑 협정의 기간/3∼6개월
통화스왑 계약과 통화스왑 협정은
계약주체와 운용방식, 성격 면에서 완전히 다름
외환위기가 발생하면 자국통화를 상대국에 맡기고
외국통화를 단기 차입하는 중앙은행 간 신용계약
처음 스왑 협정을 맺을 때의 환시세를 적용
국가 간 통화스왑은 중앙은행이 계약주체로
서로 타국 통화를 인출하는 계약이다.
(사실상 외환 보유액이 늘어남)
[한미통화스왑]
실제로는 달러를 일방적으로 빌려다 쓰는 구조
위기 시 이뤄지기 때문에 미국과 통화스왑을 맺을 경우
자국 통화가치가 저평가되는 것은 어쩔 수 없이
감수해야 하는 비용으로 평가
:::
통화스왑을 통해 위험을 회피한다는 의미는
통화가치의 상하향 변동의 위험에서
거래당사자가 모두 자유로워진다는 점을 의미
이전글보기
2020/03/25 - [[ 일상 어디쯤 ]/ㅡ 사회] - 통화 스와프(currency swap)
2020/03/24 - [[ 일상 어디쯤 ]/ㅡ 사회] - 엘리어트 파동이론
2020/03/20 - [[ 일상 어디쯤 ]/ㅡ 사회] - CDS(신용부도스와프)
'│경제│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하이일드 채권 (0) | 2020.03.31 |
---|---|
국가의 신용등급 평가기관 (0) | 2020.03.27 |
대출채권담보부 증권(CLO) (0) | 2020.03.27 |
엘리어트 파동이론 (0) | 2020.03.24 |
CDS(신용부도스와프) (0) | 2020.03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