ㄴ부동산등기법2025. 4. 24. 12:23
반응형

사진: Unsplash 의 James Nichols

 

매도용인감증명서일반 인감증명서차이( 용도 기준)

 

1. 매도용 인감증명서

  • 용도: 부동산 매도 시 전용
  • 특징:
    • '부동산 매도용'이라는 용도가 명시됨
    • 매매계약서상의 매수인, 부동산 표시 등이 함께 기재
    • 등기 신청 시 필수 서류

2. 일반 인감증명서

  • 용도: 다양한 법률행위 일반 사용 (예: 금융, 계약 등)
  • 특징:
    • 특정 용도 제한 없음
    • 단순히 인감의 진위 확인용
    • 부동산 매도 관련 등기 시에는 사용 불가

▶ 요약정리 

  • 매도용은 부동산 매도 목적에 한정 / 계약 내용 포함 필수
  • 일반 인감범용 / 매도 등기에는 적합하지 않음

 

등기신청 시 매도용 인감증명서 제출 여부

 

 

1. 매매에 의한 소유권 이전등기

  • 매도인 = 등기의무자
  • → 매도용 인감증명서 반드시 제출

[이유]

  • 매도인의 인감날인 매매계약서
  • 동일 인감이라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필요

 

2. 그 외 사유에 의한 등기 (예: 증여, 상속, 판결 등)

  • 매도용 인감증명서 = 필요 없음
    (일반 인감증명서도 사용되지 않거나, 별도 방식으로 진정성 입증)

▶요약

  • “매매” = 매도용 인감 필수
  • “기타” = 용도별로 다름 (필요 X 가능성 많음)

 

 

 

사진: Unsplash 의 Amina Atar

 

▣ "공동신청"으로 등기소에 직접 방문 매도용 인감증명서

 

[전제]

매매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

  • 공동신청 원칙 (매도인 + 매수인)

 

[공동신청 직접방문 시 흔한 오해]

  • "매도인이 직접 출석하니 인감증명서 필요 없지 않나요?"
    X (틀림)

 

[이유]

  • 신청서에 날인된 인감
    실제로 본인의 인감인지
    공적으로 입증해야 함
    → 매도용 인감증명서로만 가능

 

[예외 없음]

  • 매도인이 직접 등기소에 가도
  • 인감도장 지참해도
    매도용 인감증명서는 생략 불가

▶요약

“매매 = 인감날인 + 매도용 인감증명서로 진정성 입증”은 필수 요건!

→ 신청 방식(직접/대리, 공동/단독)과 무관하게 제출 필요

 


 

 

 

사진: Unsplash 의 Rock Staar

 

매도용 인감증명서 제출이 필수인 법적 근거

ㄴ매매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 시 매도용 인감증명서 제출이 필수인 법적 근거

 

1. 부동산등기법 제35조 제1항

“공동신청은 등기의무자와 등기권리자가 공동으로 등기신청을 하여야 한다.”

→ 등기의무자(=매도인)의 신청 의사와 진정성 확인 필요

 

2. 부동산등기규칙 제44조 제1항 제3호

  • 등기신청 시 첨부해야 할 서류로서
  • “신청서에 날인한 인영이 본인의 것임을 증명하는 서면” 포함
  • → 통상 “인감증명서”로 제출
    → 특히 매매의 경우에는 “매도용 인감증명서”로 한정

 

3. 대법원 등기예규

「부동산등기 선례집」 및 등기관 실무지침에서 명시:

“매매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에서는 매도인의 인감이 날인된 계약서와 인감증명서의 일치가 필수이며, 이 인감증명서는 반드시 ‘매도용’이어야 한다.”

일반 인감증명서로는 접수 거절됨

 

▶요약 

  • 부등법 제35조: 공동신청 의무 → 의사 확인 필요
  • 부등규 제44조: 신청서 인감의 진정성 입증 → 인감증명서 제출
  • 실무예규: 매도용 인감증명서만 인정 (매매의 경우)

 

 

 

사진: Unsplash 의 Vitor Monthay

 

▣ 매도용인감증명서는 방문 발급만 가능한가?

 

1. 발급 방식

  • 무조건 주민센터 직접 방문 발급
  • 본인만 신청 가능 (대리 불가)

 

2. 발급 요건

  • 인감도장 등록되어 있어야 함
  • 매매계약서 사본 등 ‘용도 기재’ 필요
    • ‘부동산 매도용’임이 명확해야 함
    • 매수인 정보 등 기재 요구 가능

 

3. 온라인 발급 불가

  • 정부24 등 온라인에서는 ‘일반 인감증명서’만 발급 가능
  • 매도용은 용도확인 필요로 인해 반드시 창구 방문

 

▶ 요약

“매도용 = 본인 직접, 방문 창구 발급, 온라인 불가”


 

 

사진: Unsplash 의 Benyamin Bohlouli

 

▣ (원인별) 매도용 인감증명서가 필요 없는 등기

 

1. 증여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

  • 필요 서류: 일반 인감증명서 또는 공증된 증여계약서 등
  • 매도 개념 아님 → 매도용 인감증명서 불요

 

 2. 상속에 의한 등기

  • 원인: 상속개시
  • 증빙: 가족관계증명서, 제적등본, 상속인 전원의 인감증명서(필요시)
  • 매도행위 없음 → 매도용 불요

 

 3. 판결에 의한 등기 (승소 확정 판결 등)

  • 첨부서류: 확정판결문, 송달증명서
  • 법원 판단에 따른 등기 → 신청인 단독 신청 가능
  • 매도인의 동의 필요 없음 → 매도용 인감증명서 불요

 

 4. 협의이혼에 따른 재산분할등기

  • 필요 서류: 협의이혼확인서, 재산분할합의서 등
  • 매매가 아닌 재산 정리 → 매도용 불요

 

 5. 신탁등기, 용익물권 설정등기(지상권 등)

  • 물권설정행위일 뿐, 소유권 매매 아님
  • 등기의무자의 일반 인감증명서 또는 공증 등 대체 가능

 

 6. 유증(유언에 따른 이전등기)

  • 첨부서류: 유언장, 검인서, 사망증명 등
  • 매매가 아닌 유언에 의한 처분 → 매도용 인감증명서 불요

 

 7. 공동상속인 간 지분 정리 등기

  • 협의분할서 등 제출
  • 소유권 처분이 아닌 내부 정리 → 매도용 불요

 

핵심요약

“소유권이 매매로 이전될 때만 매도용 인감증명서 필요”

그 외 사유(상속, 증여, 판결, 유증, 분할 등)는 필요 없음


 

 

사진: Unsplash 의 Kolby Milton

 

매도용 인감증명서 필요 없는 등기의 법적 근거

매도용 인감증명서가 필요 없는 등기법적 근거는 “매도용 인감증명서 제출이 필요한 경우가 한정적”이라는 부동산등기법 및 규칙의 구조적 해석과, 등기 실무예규에 기초합니다.

 

 

1. 증여에 의한 소유권 이전등기

◆ 근거

  • 부동산등기규칙 제44조 제1항 제3호
  • “등기의무자의 인감 진정성을 입증하는 서면”
  • ⇒ 일반 인감증명서로 충분

 

2. 상속에 의한 등기

◆ 근거

  • 부동산등기법 제89조 (공동신청 예외)
  • 부동산등기규칙 제86조 (상속 등기 신청 요건)
  • “상속을 원인으로 한 경우, 공동신청 생략 가능”
  • ⇒ 상속인은 단독 신청, 매도인 개념 없음 → 인감증명서 자체 불필요한 경우도 있음

☞ 더보기

더보기

 

부동산 등기법 제89조(공동신청 예외)

부동산등기규칙 제86조(상속 등기 신청 요건)

▣ 【부동산등기법 제89조】

공동신청의 예외

법령원문】
복사편집
제89조(공동신청의 예외)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공동신청이 아니어도 등기신청을 할 수 있다. 1. 법원의 확정판결 또는 그 밖의 이에 준하는 결정ㆍ명령 등에 따라 등기하여야 하는 경우 2. 상속에 의한 소유권의 이전이나 상속으로 인한 물권의 변동에 따라 등기하여야 하는 경우 3.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

요지 해설

  • 원칙: 공동신청 (제35조)
  • 예외: 제89조
    → 특히 제1호(판결), 제2호(상속)
    등기의무자 동의 불요 → 매도행위 없음 → 인감증명서 불요

 

▣【부동산등기규칙 제86조】

상속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 신청 요건

법령원문】
복사편집
제86조(상속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 신청의 요건) 상속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신청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서면을 첨부하여야 한다. 1. 피상속인의 가족관계기록사항에 관한 증명서류 2. 상속인임을 증명하는 서면 3. 공동상속인 전원의 협의분할에 따른 이전인 경우에는 그 협의서 4. 상속인 중 일부가 신청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 승낙서 5. 그 밖에 상속을 원인으로 한 이전등기에 필요한 서면

요지 해설

  • 상속등기는 단독 신청 가능
  • 등기의무자(피상속인)는 이미 사망 → 인감 날인 및 증명 자체가 불가능
  • 매도용 인감증명서가 원칙적으로 불요

 

▣ 결론 요약

조문  핵심 내용 결과
부등법 제89조 판결·상속 등은 공동신청 예외 매도용 인감증명서 불요
부등규 제86조 상속등기 신청시 서류 요건 명시 인감증명서 언급 없음 (불요)

 


 

3. 판결에 의한 등기

◆ 근거

  • 부동산등기법 제89조
  • “법원의 확정판결로 인한 등기 시, 공동신청 불요”
  • 부동산등기규칙 제53조
  • “판결서, 송달증명서로 대체 가능”
  • ⇒ 등기의무자 동의서류, 인감증명서 필요 없음

 

4. 협의이혼에 따른 재산분할등기

◆ 근거

  • 가족법 및 부동산등기 실무 예규
  • ⇒ 부부간 협의분할서에 의함. 매도 개념 없음

 

5. 유증, 수증에 의한 등기

◆ 근거

  • 부동산등기규칙 제87조 (유증 등기 요건)
  • ⇒ 유언장 및 사망증명서로 대체, 매매 아님

 

공통 결론

부동산등기규칙 제44조 제1항 제3호

인감증명서가 필요한 경우는
“등기의무자의 진정한 의사표시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 한함

→ 따라서 매매(=의무자의 인감 진정성 입증 필요) 외에는,
일반 인감증명서로 충분하거나, 아예 불요

 

◆  정리

매도용 인감증명서의 법적 근거는 '매매에 한정'

다른 원인들은 의사 진정성 입증 방식이 다르므로 일반 인감 or 대체 가능


 

 

 

사진: Unsplash 의 Aleix Ventayol

단독신청이 가능한 경우라면

ㄴ"매도"가 원인이라면 매도용 인감증명서는 여전히 필요

 

◆ 구조적 정리

▶ 1. 단독신청 + 매도 =  매도용 인감증명서 필요

  • 예) 등기의무자(매도인)가 단독으로 신청하는 경우
  • 부동산등기규칙 제44조 제1항 제3호 →
    “신청서에 날인한 인감의 진정성을 입증하는 서면” 필요
  • 즉, 직접 가서 신청해도 매도용 인감증명서로 진정성 입증 필요

단독이든 공동이든 ‘매도’가 원인이라면 매도용 인감증명서 반드시 제출

 

▶ 2. 단독신청 + 매매 이외 원인 =  매도용 인감 불요

  • 예) 상속, 판결, 유증 등
  • 등기의무자가 없거나, 법률상 신청인이 단독으로 권리 취득 가능
  • 이 경우는 진정성 입증이 다른 방식으로 충족됨 → 매도용 불필요

 

핵심 정리

구분 신청  방식 등기 원인 매도용 인감증명서
① 매매 단독 or 공동 매매 필수
② 상속 단독 상속 불요
③ 판결 단독 확정판결 불요
④ 증여 공동 증여 보통 불요 (일반 인감으로 충분)

 

▶ 포인트

“신청 방식이 아니라, 원인이 매도냐 아니냐가 기준이다”

매도 = 매도용 인감 필요 / 그 외 = 일반 인감 or 생략 가능

 

◆ 오로지 "매매"일 때만 매도용 인감증명서 제출이 필수

  •  신청 방식 무관:
    → 공동신청이든, 단독신청이든, 대리신청이든
  •  신청 경로 무관:
    → 직접방문이든, 온라인이든, 자격자대리인이든
  •  신청 주체 무관:
    → 등기의무자 본인이 직접 와도
    → 인감날인의 **진정성은 문서(매도용 인감증명서)**로 입증해야 함

 

◆ 매매 아닌 경우에는 필요 없음

  • 상속, 증여, 판결, 유증, 재산분할 등
    매도라는 처분행위가 없거나, 다른 방식으로 진정성 입증됨

 최종 정리

매도(매매) = 매도용 인감증명서

그 외 등기원인 = 필요 없음 또는 일반 인감증명서


※ 위 내용은 작성자의 개인공부용기준으로 작성되었음(적용시, 교차검증요)

320x100
Posted by E.su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