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PPI - Producer price index * CPI - Consumer Price Index |
[경제지표 -4] PPI 생산자물가지수
▣ 생산자물가지수 PPI
º 생산자가 받는 판매물과 서비스가격의 평균적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
º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지표로 활용된다.
º CPI(소비자물가지수)
ㄴ소비자 관점 가격변화 측정지표
º PPI(생산자물가지수)
ㄴ판매자 관점 가격변동 측정지표
ㄴ도매수준 가격변동을 체크하는 지표
<생산자물가지수 구성>
º 완성품
º 중간재
º 원료 3가지
※ 중간재 원료단계 물가가 미래 물가상승 초기지표로서 더 효율적인 지표
<생산자 물가지수 구성요소>
º 소비재완성품 40%
º 음식료26%
º 자본재25%
º 에너지9%
▣ 채권시장 영향
º PPI는 월 중 가장 빠른 발표하는 인플레이션 지표.
º 제조원가 상승은 결국 소비자들에게 전가
º CPI - 인플레이션 주요 측정지표
º PPI - 인플레이션 변화에 대한 사전지표
ㄴ생산자물가는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 역할
º 인플레이션 변화는 곧 채권시장의 금리변화를 의미
ㄴ PPI=>CPI=인플레이션=>시중금리=>채권가격
<요약>
º 생산자물가지수 PPI 는 개별수치보다는 좀 더 광범위하게 비교 분석해야한다.
º 발표된 달의 수치를 최근 2~3개월과 비교해 판단.
º 과거 6개월 내지 12개월 이동평균으로 보자.
º 연간 변동인플레이션으로 확인
º 경기가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는지 판단하려면 개별수치보다는 추세Trend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.
☞다른 글 더보기
2021.07.10 - [│경제│] - [경제지표-2] 소비자물가지수(CPI: Consumer Price Index)
2021.07.11 - [│경제│] - [경제지표-3] ISM제조업구매자지수
사진출처: unsplash.com/
자료출처: 채권투자 핵심노하우/마경환 지음.
※ 본 블로그는 개인 경제 공부 용도로 작성되었음.
'■ 경 제 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주요경제지표-5] 주간 실업수당청구건수 (0) | 2021.10.02 |
---|---|
[주요경제지표-3] ISM제조업구매자지수 (0) | 2021.07.11 |
[주요경제지표-2] 소비자물가지수(CPI: Consumer Price Index) (0) | 2021.07.10 |
[주요경제지표-1]고용보고서(채권시장에 영향을 끼치는 경제지표) (0) | 2021.07.08 |
[#채권 -7] 채권투자, 반드시 체크해야할 위험(환율변동) (0) | 2021.06.26 |